소비자단체협의회 국내 삼계탕(외식) 가격 모니터 및 원가분석
5년간 서울평균 19%(‘12년 13,091원), 전국평균 20%(‘12년 11,237원) 가격인상
동일기간 주요 원재료인 삼계는 370원 인상, 삼계탕(외식)가격은 2,098원 인상 주재료, 인건비, 임대료의 원가상승분 고려한다고 해도 7~8% 가격인하 여력 있어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 김연화, 이하 소협) 물가감시센터는 2008년부터 최근까지 5년간 삼계탕(외식)가격 모니터 및 주요 원재료를 포함한 원가분석을 실시하였다. 삼계탕(외식)은 최근 5년간 안전행정부에서 공개하는 개인서비스 8개 품목 중 삼겹살 다음으로 높은 가격인상을 보였으며, 전국평균 20%가격이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복을 앞두고 보양식으로 많이 찾게 되는 삼계탕(외식)의 원가분석을 통해 삼계탕(외식)가격과 주요 원재료의 추이를 살펴보고, 가격이 적정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금번 원가분석은 삼계의 유통과 삼계탕을 구성하는 주요 원재료로 나눠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1. 최근 5년간 삼계 370원 인상, 그에 반해 삼계탕(외식) 가격은 2,098원 인상
삼계탕의 주요 원재료라 할 수 있는 삼계의 가격을 확인해보니, 2008년 2,034원에서 2012년 2,404원으로 370원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삼계탕 가격은 10,993원에서 13,091원으로 2,098원 인상했으며, 이는 삼계가격 인상의 5배가 넘는다. 5년간 증분(전월대비 오른 가격)가격의 그래프를 확인해 봐도 점점 격차가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삼계탕(서울평균)가격과 삼계가격 비교] (단위 : 원/수)
구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08년대비 |
삼계탕가격 |
10,993 |
11,832 |
12,315 |
12,943 |
13,091 |
2,098 |
삼계가격 |
2,034 |
2,273 |
2,231 |
2,322 |
2,404 |
370 |
가격차이 |
8,959 |
9,559 |
10,084 |
10,621 |
10,687 |
1,728 |
(출처: 안전행정부가격정보(2011년 09월 이전기간은 통계청 지수를 이용하여 환산), (사)한국계육협회)
2. 삼계탕(외식) 분석결과 원재료가 인상보다 삼계탕(외식)가격 인상액 더 높게 나타나
삼계탕을 구성하는 주요원재료(삼계, 수삼, 찹쌀, 인건비, 임대료)를 분석한 결과 주요원재료는 2008년 대비 2012년 1,107원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계탕(외식)가격은 동일기간 2,098원 인상해 원재료가 인상보다 큰 폭으로 인상되고 있었다. 이는 한 그릇 당 추가이익이 증가하고 있다는 뜻으로, 5년간의 추이를 보면 원재료가 인상을 제외하고도 추가이익이 991원이나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삼계탕(외식) 가격 분석]
(단위 : 원)
구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가격인상분 |
- |
839 |
1,322 |
1,950 |
2,098 |
원가인상분 |
- |
396 |
484 |
818 |
1,107 |
추가이익 |
- |
443 |
838 |
1,132 |
991 |
3. 닭고기 90%를 계열업체가 유통, 2011년 대비 2012년 유통이익 두 배 가까이 증가
축산물(소, 돼지, 닭)의 경우 적게는 3단계에서 많게는 7단계까지 유통의 과정을 거치며 도·소매가가 올라가는 구조라 할 수 있다. 삼계탕의 기본 원재료인 삼계가격의 유통을 분석해본 결과 닭고기의 경우 다른 축산물과는 다르게 90%이상을 계열화업체가 유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계열화업체가 유통이익을 증가시키면서 닭의 도소매가격이 인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11년 유통이익이 415원에서 2012년 822원으로 두배 가까이 인상됐다.
(단위 : 원/수)
구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A) |
2012년 (B) |
증감액 (B-A) |
유통비용 |
2,311 |
2,244 |
3,063 |
3,100 |
3,274 |
174 |
유통이익 |
446 |
413 |
432 |
415 |
822 |
407 |
유통이익률 |
19.3% |
18.4% |
14.1% |
13.4% |
25.1% |
11.7% |
(출처 : 축산물품질평가원)
삼계탕을 분석해 본 결과 주요 원재료인 삼계가격의 인상폭보다 삼계탕 외식가격의 인상폭이 5배정도 높게 인상되었으며, 총원가를 고려하더라도 삼계탕 외식가격의 인상폭이 2배정도 높게 인상되고 있었다. 이를 삼계탕 한 그릇의 가격으로 환산하면 7~8%의 인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계열화업체의 유통이익을 줄인다면 삼계탕의 가격인하폭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이에 소협 물가감시센터는 국내 삼계탕 유통 및 외식업계에 지속적인 문제제기와 함께 다시 한 번 관련업계 종사자들에게 삼계탕(외식)가격을 인하할 것을 촉구한다. 끝.
*삼계탕 원가분석 방법
구분 |
내용 |
출처 |
|
주재료 |
삼계 |
도매가격 |
(사)한국계육협회 |
부재료 |
찹쌀 |
도매가격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
수삼 |
소매가격 |
금산군청 인삼류 가격현황 |
|
임대료 |
132㎡ 기준 |
서울 음식점업의 평균임대료 |
국토교통부 |
인건비 |
종업원 3명 |
숙박 및 음식점업의 평균임금 |
고용노동부 |
소비자단체협의회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