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이미 현행법상으로 허용된 원격의료가 응급환자에 쓰일 경우에는 효과가 크다고 판단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확대·지원해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3일 오후 2시 ‘응급의료에서 원격의료 활용사례 및 발전방향 토론회’를 열고 응급환자를 위한 원격의료 활용 확대의 구체적 방안을 논의했다.
최근 환자-의사간 원격의료가 논란이 되고 있지만, 강원도에서는 2006년부터 119구급차-응급실간 원격응급의료체계를 운용한 결과, 119구급대원이 제공하는 구급서비스의 질이 향상되고, 응급실 체류시간과 사망률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또 응급의료에서는 원격의료는 취약지역이나 원거리 환자이송 등 응급의료 분야에서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하게 활용되어 원격응급의료시스템 사용군 사망률 1.5%, 미사용군 사망률 3.5%가 나타났다.
권역외상센터인 목포한국병원은 장흥, 신안, 완도 등 지역 내 10개 병원과 원격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하여 CT·MRI 사진 등을 공유하며 환자전원 여부를 신속판단하고 도착 즉시 수술에 들어가 환자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 중이고 의정부성모병원은 스마트폰 앱의 다자간 화상통화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 상태를 파악하고 응급환자를 이송-협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범사업 중이다.
해양경찰청은 139개 함정과 해안소재 총 6개 병원에 해양원격응급의료시스템을 구축해 이송시간이 긴 응급환자 처치에 활용하였고, 지난 5년간 선박과 섬 지역에서 발생한 840여명의 응급환자가 도움을 받았다.
‘14년 지정되는 전남(목포한국병원), 인천(가천의대길병원)의 권역외상센터를 시작으로 권역외상센터가 인근 병원과 원격의료 협진체계 구축할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지원하고 관련 수가를 건강보험에 신설할 계획이다.
건강보험 수가가 신설되면 의료기관간 원격의료를 활용한 협진이 활성화되어, 응급환자가 최종치료기관에 도착하는 시간과 수술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는 원격의료를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생존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적극 확대·지원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