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씨좋은 산부인과 윤호주 원장, 여성질환 미리미리 챙겨야..
여성질환 지나친 고민·자만 보다 이쁜이수술 후기가 더 좋을 수도
여성의 질은 세상의 신성한 기원이자, 삶을 기쁨과 평화로움으로 인도할 수 있는 신체의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행복한 가정의 기본조건인 화목한 부부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려면, 여성은 자신의 질 건강에 늘 관심을 가지고 보살펴야 한다.
그러나 많은 중년 여성들이 말도 제대로 할 수 없는 고민으로 괴로워하고 있다. 결혼과 출산을 거치면서 질이 이완되는 정도가 심해지고, 골반의 수축력마저 약해지면 질 속에 각종 우환들이 찾아오기 때문이다.

느슨한 질속에 남는 불순물 등으로 인한 악취와 냉증, 질염 등은 그래도 가벼운 증상에 속한다. 요실금은 물론, 하복부 뻐근함 요통 등의 증상과 함께 자궁이 이탈해 아래로 내려오는 자궁하수증이나 더 심해져 자궁이 질입구까지 돌출하는 자궁탈출으로까지 진행되면 자궁적출까지 해야 하는 심각한 상황을 맞게 된다.
뿐만 아니라, 질 속이 헐거워진 느낌과 함께 자주 바람 빠지는 소리가 나고, 부부관계시 성감마저 무디어지게 되면 일상의 불편함을 넘어,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의구심으로 인해 ‘인생’에 대한 회의로 까지 번져 정신건강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얼핏 남의 이야기 같지만 최근 섹스리스 부부가 늘어나고 있는 통계자료나, 자궁적출로 인해 여성성을 잃었다는 상실감과 우울증에 시달리는 여성이 적지 않음을 볼 때 ‘나는 아무 문제 없다’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중년 연배의 여성이 과연 얼마나 될 지 알 수 없다.
또 반대로 뒤집어 보자면, 사정이 이러한데 ‘나만 유독 심한 건 아닌가’하고 너무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사람이 무리를 이루어 살게 되면서 결혼이라는 짝짓기와 출산 행위를 한다는 것은, 이러한 여성의 질 속 변화를 당연한 것으로 여길 수 밖에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질 속에 생기는 작은 질환일지라도 절대로 부끄러워하지 말고 당당하게 산부인과 전문의를 찾아 묻고 진료를 청하는 문화가 건강하고 자연스러운 것임을 확신하고, 산부인과 찾기를 꺼리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바꿔야 할 때인 것이다.
한편, 이러한 여성의 모든 질 속 질환을 말끔하게 해결해 주는 후방질원개술이라는 이쁜이수술방법이 산부인과 전문의들은 물론 상담과 진료를 위해 병원을 찾았던 여성환자들 사이에서 또한 이쁜이수술 후기 등에 널리 알려져 있다.
후방질원개술은 또한, 최근 8자근육강화술까지 보강하여 ‘이쁜이수술의 완결판’으로 알려져 있기도 한데, 기존 비전문의가 하는 각종 이쁜이수술로 생기는 부작용을 말끔히 해결하고, 전체 질 속 축소와 함께 질 속 근육을 복원해 주는 수술로 정평이 나있다.
후방질원개술은 먼저, 질쪽으로 이탈해 내려온 자궁을 원위치로 올려놓아 고정시킨 후, 질 속 깊은 곳인 자궁경부 부터 질 입구까지 초정밀수술기법인 ‘정밀박피술’로 봉합하며 질을 전체적으로 좁혀 나오는 것이다. 따라서 수술전 헐거운 상태에서 발생하는 고질적인 악취, 질염 등의 질환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 수술을 통해 좁혀진 질 속 면적만큼의 질 근막은 절개되어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질 속에서 단단히 봉합되어 하나로 조직화 된 채 두툼한 근육 형태로 질 속에 남게 되어 질 속 및 골반근육의 강화효과를 낸다. 이로 인해 성교의 쾌감을 처녀적으로 되돌려 줄 뿐 아니라, 자연적으로 요실금 증상도 치료되는 것이다.
특히, 질입구만 좁혀 놓는 임시방편적 수술에 비해 질과 항문부위의 회음부 괄약근을 개선하는 8자근육강화술은 질입구의 근력과 탄력을 원천적으로 강화해 주어, 역시 요실금을 예방하면서도 남녀 모두에게 만족스런 성생활을 제공한다.
이 8자근육강화술에도 역시 질점막을 박피하는 정밀기술이 사용되는데, 질입구에서 3센티미터 속까지의 질 벽 점막을 1mm 이하로 박피 한 후 8자근육을 찾아서 단단히 묶어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질입구는 이전보다 작아져 쾌감 높은 성생활이 가능하고 변비, 요실금방지, 질 수축력강화는 물론 힙업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 또 질과 항문사이의 회음부 길이가 더 길어짐으로써 미관과 위생에도 좋다.
(도움말= 산부인과전문의 윤호주 의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