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마 목동캠퍼스 최병철 원장의 '학생부 전성시대'
신학기가 시작되며 이제 특목고를 꿈꾸는 중학생들, 대입을 준비하는 고등학생들의 발걸음이 바빠졌다. 특히 중학생의 경우 특목고 진학을 위해 도움을 받을 곳이 부족하기 때문에 더욱 마음이 급하다. 신학기를 맞아 학생부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자.
'학생부전성시대'
진학 자료의 근간이 되는 학교생활기록부의 교육적 의미와 관리 방안을 되짚어 보아야 한다. 또한 진학 제도가 대학이 원하는 인재 발굴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다각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 입시를 이해하는 첫 단추가 될 것이다.

학생부 평가 방식의 비중과 특성
선발고사 등으로 점수화된 기계적 선발방식에서 탈피하고, 자율화, 특성화, 다양화라는 교육정책 하에서 입시의 선진화 방안으로 마련된 입학사정관제도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내신성적과 수능점수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려웠던 열정과 의지, 인성 등을 다각적으로 판단하여 모집 집단에서 선호하는 인재상에 보다 적합한 지원자를 가려내는 제도인데, 이때 판단의 주된 자료로 쓰이는 것이 ‘학교생활기록부’ 이다. 창의적 인재, 융합형 인재라는 말도 상투적 단어가 된 요즘, 21세기가 요구하는 다양한 인재를 다각적으로 평가(창의력, 봉사성, 리더십 등) 하자는 취지에는 전문가들이 모두 공감한다. 주요 대학 발표에 따르면 학생부를 근간으로 모집하는 학생의 정원수와 그 비율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이런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바야흐로 현재의 입시는 ‘학생부 전성시대’ 라고 칭할만하다.
그러나 취지와 이상은 높았으나, 인력과 인프라가 부족하고, 운영제도가 미비하여 현실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제도를 악용한 부정입학(학생부 조작 및 위조, 담당관 부정) 등 부작용이 잇달아 발생하면서, 입학사정관제의 관리 부실에 대한 개선이 절실하다. 또한 ‘학생부’ 중심의 입시는 패자 부활이 어려운 전형이다. 3학년이 되어서 남들 몇 배의 노력을 치른다고 한들, 꾸준히 준비해온 학생을 역전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학생부의 항목별 의미를 파악하고, 학교 활동에 충실히 참여하며, 기록으로 남겨야 하는 ‘학생부’ 관리에 성실하게 임할 필요가 있다.

• 위치: 목동역(5호선)5번출구 목화빌딩 4층
• 문의: 02-2646-5941~3
http://blog.naver.com/daekyoferm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