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젊은 세대들이 '내 집 마련'을 포기해야 될 사태가 올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10년 후 살 수 있는 서울의 주택 수가 전체의 절반을 겨우 넘는 수준에 그쳤으며, 만일 경제가 지금보다 더 성장하지 못할 경우 주택 마련이 더욱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1~2020년 경제성장률을 3.6%로 상정할 경우 2014년 기준 25~29세인 청년이 10년 후 살 수 있는 서울의 주택 숫자는 56.4%에 불과했다.
이는 수도권에 사는 35~39세의 소득을 월 342만9000원으로 순자산을 1억453만원으로 놓고 소득과 자산, 주택대출 등을 고려했을 때 부담할 수 있는 주택가격이 3억8421만원이라고 추정한 결과다.
지역별로 35~39세가 구입 가능한 주택 비율은 경기가 83.7%, 인천이 96.1%로 나타났다. 광역시의 경우 울산 87.5%, 대구 89.0%, 부산 92.0%, 광주 97.4% 등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률이 이보다 둔화될 경우 청년들이 살 수 있는 주택 비율도 더 낮아진다. 기존 추정보다 경제성장률이 5% 가량 둔화되어 청년층의 소득증가율이 낮아지면 서울의 주택 가운데 35~39세가 살 수 있는 주택은 47.8%로 하락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집값이 2014년 실거래가에서 오르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따른 것이다. 향후 젊은 세대들이 서울에서 구매할 수 있는 주택은 10채 중 6채도 안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은행별 주택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 사이트 뱅크몰( www.bank-m.co.kr )의 관계자에 따르면 "주택가격은 일반적으로 급락이 없고 조금씩 오른다. 이번 연구는 집값의 상승을 반영하지 않았음에도 서울에 있는 집 가운데 절반 정도를 젊은 세대들이 10년 뒤에도 살 수 없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 이들은 대출을 더 많이 받아 집을 사거나 전/월세로 내몰리게 되면서 주거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고, 이는 소비위축으로 대한민국 경제를 경직되게 만드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부동산시장 안정은 부담 가능한 가격의 재고물량이 있을 때 유지된다"며 "주택의 안정적 공급 없이 전/월대책만 내세우는 것은 수요자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택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 사이트 뱅크몰을 통해 주택담보대출갈아타기 및 전세자금대출 조건 확인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