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어려워지는 주택마련 은행별 주택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 해야
갈수록 어려워지는 주택마련 은행별 주택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 해야
  • 이청원 기자
  • 승인 2016.08.30 15: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리비교 통해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대출 찾아야.
 

대한민국 젊은 세대들이 '내 집 마련'을 포기해야 될 사태가 올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10년 후 살 수 있는 서울의 주택 수가 전체의 절반을 겨우 넘는 수준에 그쳤으며, 만일 경제가 지금보다 더 성장하지 못할 경우 주택 마련이 더욱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1~2020년 경제성장률을 3.6%로 상정할 경우 25~29세인 청년이 10년 후 살 수 있는 서울의 주택 숫자는 56.4%에 불과했다.

이는 수도권에 사는 35~39세의 소득을 월 342만9000원으로 순자산을 1억453만원으로 놓고 소득과 자산, 주택대출 등을 고려했을 때 부담할 수 있는 주택가격이 3억8421만원이라고 추정한 결과다.

지역별로 35~39세가 구입 가능한 주택 비율은 경기가 83.7%, 인천이 96.1%로 나타났다. 광역시의 경우 울산 87.5%, 대구 89.0%, 부산 92.0%, 광주 97.4% 등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률이 이보다 둔화될 경우 청년들이 살 수 있는 주택 비율도 더 낮아진다. 기존 추정보다 경제성장률이 5% 가량 둔화되어 청년층의 소득증가율이 낮아지면 서울의 주택 가운데 35~39세가 살 수 있는 주택은 47.8%로 하락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집값이 오르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따른 것이다. 향후 젊은 세대들이 서울에서 구매할 수 있는 주택은 10채 중 6채도 안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은행별 주택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 사이트 뱅크몰( www.bank-m.co.kr )의 관계자에 따르면 "주택가격은 일반적으로 급락이 없고 조금씩 오른다. 이번 연구는 집값의 상승을 반영하지 않았음에도 서울에 있는 집 가운데 절반 정도를 젊은 세대들이 10년 뒤에도 살 수 없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 이들은 대출을 더 많이 받아 집을 사거나 전/월세로 내몰리게 되면서 주거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고, 이는 소비위축으로 대한민국 경제를 경직되게 만드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부동산시장 안정은 부담 가능한 가격의 재고물량이 있을 때 유지된다"며 "주택의 안정적 공급 없이 전/월대책만 내세우는 것은 수요자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은행별 주택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사이트를 이용하면 무료로 부동산, 주택,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를 통해 시중은행에서 제공하는 주택구입자금대출, 주택담보대출갈아타기, 빌라주택담보대출, 전세보증금담보대출, 장기고정금리주택담보대출인 적격대출,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대출, 경매낙찰자금대출 상품 같은 주택담보대출 금리비교는 물론이고 평소 대출과 관련하여 궁금했던 부분까지 전문가를 통해 설명해주는 등 선진형 금융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