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급증, 은행별 주택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로 이자 줄여야
가계부채 급증, 은행별 주택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로 이자 줄여야
  • 이청원 기자
  • 승인 2016.11.08 15: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중은행 최저금리 2.6%대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심각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물경기 회복은 더디고 가계대출은 큰 폭으로 늘고 있다. 가계부채는 저금리 영향으로 리스크가 과소평가 되고 있지만,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과도 같다는 분석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올 상반기에 우리나라의 총 가계부채는 1224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말에 비해 20조원 이상 늘었다. 지난달 기준금리는 사상 최저 수준인 1.25%까지 낮아졌다. 가계부채 증가에 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가계부채는 증가 속도도 그렇지만 부채비율이 매우 높아 문제다. 지난해말 국내총생산(GDP) 대비 88%를 넘어섰을 정도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가계소득은 정체하는데 부채가 증가하고 있다. 향후 금리변동시 위험에 노출되는 등 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다.

가계부채의 질도 나빠졌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은 지난해보다 36조원이 늘었다. 비은행권 대출은 2.4배나 늘었다.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로 대출 수요가 2금융권으로 옮겨 갔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금융권 대출금리도 덩달아 오른다. 2금융권은 1금융권보다 대출이자율이 높아서 금리가 인상되면 저소득층과 영세 자영업자, 저신용자는 치명적이다.

가계부채가 늘어나면 경제적 파급효과가 커 실물경기와 금융시장에 큰 변수가 된다. 적절한 규모의 가계부채는 경제활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지만 과도하면 소비·저축 위축, 자산가격 하락 등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이에 은행별 주택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사이트 뱅크몰( www.bank-m.co.kr ) 관계자는 "지금 시장은 가계부채 증가에 경고등을 보내고 있다. 가계부채에도 다이어트가 필요하지만, 다이어트가 진행되면 소비가 둔화되고 부동산 가격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진다."며, "정부는 크게 늘어난 2금융권 대출과 가계부채 재조정에 대한 대책을 준비해야 한다. 기준금리 인하가 가계부채 증가로 이어지게 해선 안된다. 정부가 방심하면 가계부채는 우리 경제의 시한폭탄이 될 수 있다. 긴장의 끈을 놓아선 안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은행별 주택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사이트 뱅크몰을 이용하면 무료로 부동산, 주택, 아파트담보대출금리비교를 통해 시중은행에서 제공하는 주택구입자금대출, 주택담보대출갈아타기, 빌라주택담보대출, 전세보증금담보대출, 장기고정금리주택담보대출인 적격대출,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대출, 경매낙찰자금대출 상품 같은 주택담보대출 금리비교는 물론이고 평소 대출과 관련하여 궁금했던 부분까지 전문가를 통해 설명해주는 등 선진형 금융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