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삭제, 법률지원, 피해자 지원 매뉴얼 첫 개발 등 피해자지원 종합체계 구축
[한국미디어뉴스통신=최윤진 기자] 사이버성폭력 피해자들은 그간 불특정 다수에게 빠르게 전파되는 영상으로 인한 극심한 정신적 트라우마 및 재정적 피해로 고통 받고 있었다. 하지만 공공기관에서의 실질적인 피해 대책은 전무했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전국 최초로 ‘사이버성폭력 피해자 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했으며 두 달 동안 상담, 영상 삭제, 수사, 법률 지원 등 총 81건을 지원했다.
81건 중 여성 피해가 76건(94%)으로 가장 높았으며, 피해 유형으로는 영상 유포가 25건(31%) 다음으로 사이버불링 13건(16%)을 비롯한 유포 협박 사건, 사진 유포 등 다양한 피해 양상이 드러났다.
또한 사이버성폭력 전체 상담의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를 보면 익명 25건(31%)으로 가해자의 신상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사이버성폭력 중 촬영물로 인한 피해로는 전 애인에 의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촬영물은 주로 포르노사이트를 통해 유포된 것으로 알려진다.
서울시는 이에 따라 심리적 지지상담(42%), 영상 삭제(21%) 등으로 피해자를 지원하고 유동인구가 많은 홍대 및 종각역 인근에서 6회에 걸친 사이버성폭력에 대한 인식개선 및 피해 대응방법, 절차를 알리는 인식개선 캠페인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진다. 또한 1월 말부터 사이버 성폭력 근절 캠페인을 위한 희망광고를 전동차, 가판대, 버스정류장 등에 게시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사이버성폭력 피해자 지원 매뉴얼을 개발하여(수행기관: 한국성폭력상담소) 피해자지원기관(상담소, 경찰 등) 종사자교육 및 성평등캠퍼스 협약체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방교육에 적극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진다.
한편 여성가족부는 서울시의 사이버성폭력 피해자 지원 시범사업을 모델로 하여 전국 단위 사업으로 확대 추진할 예정으로, 사이버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공공 부문에서의 지원이 보다 강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