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통신=최윤진 기자]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효성)는 전국 도로·철도·지하철 터널 3,731개소(중계기가 미설치된 철도터널 125개소 제외)에 관한 ‘재난방송 수신환경 실태조사(17.7월~12월)’를 완료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2015년 방송통신발전기본법이 개정됨에 따른 터널 내 재난 방송 및 민방위경보방송이 원활하게 수신될 수 있도록 방송중계설비 설치 의무화에 의해 2015년도에 이어 두 번째로 조사한 것이다.
이번 조사는 도로터널 2,350개소, 철도터널 498개소, 지하철 883개소 터널 내의 DMB(KBS, MBC)와 FM 라디오(KBS 제1FM, myMBC)에 대한 방송수신 여부를 측정하고, ‘15년도 대비 분석은 ’17년도 전체 터널 총 3,856개소를 기준으로 하였다.
재난방송 주관 방송사인 KBS를 기준으로 터널 내의 방송신호 수신 불량률은 2015년 대비 총 터널 수가 803개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DMB는 2.8%(83.5%→80.7%), 라디오 FM은 10.0%(87.6%→77.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수신 음영터널에 대한 수신환경 개선노력 및 2015년 이후 신설된 터널에 재난방송 중계설비를 설치한 결과인 것으로 전해진다.
DMB는 수신 상태가 불량인 경우에 방송 수신이 불가하나, FM 라디오의 경우 일부 잡음이 섞인 상태로 청취 가능한 터널은 약 745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철도터널은 재난방송 중계기의 미설치로 수신 불량률이 높은 편이지만, 지난 2017년 6월 국토교통부에서 철도터널 내 재난방송 중계설비(DMB, FM라디오)를 설치하도록 하는 ‘철도설계기준’을 개정하고 년차별로 재난방송 중계기를 설치할 계획(591개소, 1,250억원)으로 있어, 추후에는 수신불량률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방통위는 기술컨설팅 및 시·도 자치단체 터널에 대해 행정안전부소방안전교부세를 활용한 중계설비를 설치하여 재난방송 수신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