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미디어뉴스통신=서재탁 기자] 환경부(장관 김은경)는 폐비닐 등 수거 거부를 통보한 재활용업체와 협의한 결과 금일 4워 2일 기준, 48개 업체 모두 폐비닐 등을 정상 수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대부분의 수도권 회수·선별업체에서 수거거부를 통보하였으나 재활용품 가격 하락을 감안한 정부의 지원 대책을 설명하고 아파트와 수거업체 간 재계약을 독려하며 정상 수거를 요청한 결과로, 곧 수거가 정상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환경부와 지자체는 폐비닐 등 분리배출 대상품목을 종량제 봉투로 배출하도록 안내한 아파트 등을 대상으로 잘못된 안내문을 즉시 제거하도록 조치하고 현장 점검에 나섰다.
이와 함께 올바른 분리배출 홍보를 통해 수거·선별과정에서 잔재물 발생을 최소화하고, 업체의 처리비용 부담 또한 줄일 수 있도록 4월 중으로 관련 규정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이번 긴급조치에 이어 빠른 시일 내에 폐플라스틱 등 재활용 상황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생산자들, 수거·재활용 업체, 주민 등의 사회적 합의를 거쳐 폐비닐, 일회용컵 등 플라스틱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등의 종합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신선경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환경부는 지자체·유관기관과 함께 비상체계를 가동하여 신속히 국민불편 상황을 해소하고, 재활용 업계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지원대책을 추진하겠다”며, “플라스틱 등 문제가 되는 재활용품에 대해서는 신속한 추가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국민들께도 반드시 분리배출 요령에 따라 폐플라스틱 등을 배출해 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덧붙혔다.
한편, 환경부는 이번 사태를 중국의 폐자원 수입금지 조치 후 국산 폐자원 수출량 감소, 재활용 시장 위축 등으로 인해 일부 수집 업체에서 수익 악화를 이유로 수거 거부를 통보한 것으로 파악해, 이번 긴급조치에 나섰다. 아울러 이를 고려하여 관련 업계 지원 및 재활용 시장 안정화 대책 등을 추진할 방침이다.